As I Withdraw My Candidacy for FIFA President

For the past year and a half, I have been the victim of constant harassment by FIFA Ethics Committee’s so-called “investigation.” The persecution only intensified when I announced my candidacy for the next FIFA presidential election.  Immediately after the press reported in late July this year that I am preparing to announce my candidacy, the Ethics Committee’s Investigatory Chamber informed me that my case would be sent to the Adjudicatory Chamber, an action equivalent to a prosecutor sending his indictment to the judge.  It requested a 15-year ban against me.  Later, it requested 4 more years for my alleged defamation of the Ethics Committee.

Because of the Ethics Committee’s unjust sanctions, I will have to miss the October 26 deadline to file my candidacy. It is now time to officially withdraw my candidacy for the next FIFA President.  Even though I cannot run in this election, I believe there is still much that I can do.  As someone who loves football, I will continue to speak out frankly about FIFA’s problems.

Starting in March 2014, when I was in the midst of my campaign for the Mayor of Seoul, the Ethics Committee began its endless harassment in the name of an investigation. Even in the midst of my demanding election schedule, I tried my best to respond faithfully to innumerable questions sent to me.  The report compiled by Michael Garcia, then Chairman of the Investigatory Chamber of FIFA’s Ethics Committee, said that the findings of his investigations were “all in all, not suited to compromise the integrity of the FIFA World Cup 2018/2022 bidding process as a whole.”

Then, on January 20, 2015 the Ethics Committee suddenly informed me that it was launching an official investigation against me. When in December, Mr. Geoff Thompson, the English ExCo member, claimed that he had traded votes with me back in 2010 the Ethics Committee must have thought that it had found a critical piece of evidence against me.  Sending me a transcript of an interview between Mr. Garcia and Mr. Thompson the committee asked: “Would it surprise you to learn that the Chairman of England 2018, Mr. Geoff Thompson has admitted to agreeing to trade your vote for Korea 2022, in exchange for England’s vote for Korea 2022?”

Mr. Thomson alleged that the vote-trading occurred when together we paid a courtesy visit on Prince William at the Prince’s request in the Prince’s suite at Baur au Lac Hotel in Zurich on December 1, 2010, one day before the vote.  Prime Minister Cameron and Dr. Lee Hong-Koo, former Prime Minister of Korea and Ambassador to Great Britain, were also present at the gathering. Mr. Thomson, however, did not even remember whether Prince William was present when he and I and PM Cameron were allegedly making this deal.  I pointed out all these details and then asked: “Is it even conceivable that Mr. Thompson and I would be making an illicit ‘vote trading’ deal in such company?  Is FIFA accusing Prince William and the Prime Minister of Great Britain of being complicit in vote trading the day before the vote?” The Ethics Committee dropped this charge.

The Ethics Committee also investigated me for sending letters to my fellow Executive Committee members about the Korean Bidding Committee’s announcement of the “Global Football Fund” (GFF). According to the Ethics Committee this “gave the appearance of offering benefits.”  Relevant FIFA regulations that the Committee has referred to, however, first appeared only in the 2012 FIFA Code of Ethics, thus was nonexistent in 2010.  It had been a time-honored tradition at FIFA for Executive Committee members to support the bid of their respective countries.  Moreover, Secretary General Gerome Valcke wrote to me and Dr. Han Sung-joo, the Chairman of the Korea Bid Committee, in November 2010 to say that FIFA “deem[ed] the matter as closed.”  Perhaps because of all this, the Ethics Committee dropped this allegation when it announced its sanctions against me last October 8.

Since early July, just before I announced my candidacy, my friends in FIFA that I encountered in Philadelphia and Vancouver were telling me that the Ethics Committee would try to prevent me from running. As soon as I announced my candidacy in Paris on August 17, media started to report that the Ethics Committee would sanction me.  Confidential information that could only have come from the Ethics Committee was leaked to the press on numerous occasions.  There was even media report that even my charitable donations to natural disaster victims in Haiti and Pakistan were the target of investigation.  I formally requested the FIFA Disciplinary Committee to investigate the leaks, but the request was rejected due to “a lack of evidence.”  When I reported the Asia Football Confederation’s illegal activities in mailing form letters to member states in support of Platini, the Ad-hoc Electoral Committee also promptly issued a perfunctory “no evidence” letter.

When I publicly protested the Ethics Committee’s unethical and unfair actions, it imposed 4 more years of sanction in addition to the original 15, this time for allegedly defaming the Ethics Committee.

When the Ethics Committee finally announced its decision on October 8, it sanctioned me for 6 years, not for my alleged violations of “vote-trading” or “the appearance of offering a benefit regarding the Global Football Fund,” but for violating such vague articles as “General obligation to collaborate,” “Duty of disclosure,” and “confidentiality.” Mr. Hans-Joachim Eckert, the Chairman of Adjudicatory Chamber who also claimed to be the victim of defamation by me, presided over my case as the judge.

The Ethics Committee’s claim that I have defamed its reputation is in itself a bad joke. As a New York Times article stated, “the word ‘FIFA’ coupled with word ‘ethics’ is seen by most as an oxymoron.”  That the Ethics Committee claims to have any good reputation that could be defamed is a joke.  If there is anyone who has been the object of defamation, it is me.  As FIFA leaked information to the media, portraying me as an unethical person, I felt I was left naked, helpless to defend myself, as they repeatedly cut me with a sharp knife.

The FIFA Ethics Committee started the investigation against me as if I were involved in a major corruption case. However, when its case broke down during the investigation it concluded by imposing sanctions on me for trivial matters that arose during the investigation.

Even though I can no longer stand for FIFA President, there is much left for me to do. I will continue to work with all those who love football to bring about legitimate changes from within FIFA.

I would like to take this opportunity to thank my friends in the global football community, the media, and the Korean people for their support. Many enthusiastically supported my candidacy and efforts to reform FIFA although they could not do so publicly due to the atmosphere of fear created by FIFA.  Thank you very much and I ask for your continued interest and support.

 

FIFA 회장 선거에서 물러나며

지난 1년 반 동안 국제축구연맹(FIFA) 윤리위의 이른바 ‘조사’를 받으면서 많이 시달렸다. 차기 FIFA 회장 선거 출마를 선언하면서 저에 대한 윤리위의 시비 걸기는 더 심해졌다. 금년 7월 하순, 주요 언론들이 저의 출마 가능성을 보도한 직후 윤리위의 조사국은 검찰 기소에 해당하는 심판국 회부를 결정했다. 15년 제재 요청과 함께였다. 얼마 후 윤리위 명예를 훼손했다는 이유로 4년 제재 요청이 더해졌다.

이제 윤리위의 부당한 조치로 인해 후보 등록 마감일일 10월26일을 넘기게 되었다. 공식적으로 차기 회장 선거 출마를 철회해야 할 때가 되었다. 이번 회장 선거에는 나가지 못하지만 나름대로 할 일은 있을 것 같다. 후보가 아닌 축구를 사랑하는 한 사람으로서 FIFA에 대해 고언을 더 많이 할 것이다.

FIFA 윤리위는 서울시장 선거로 한창 바쁘던 지난 해 3월 경부터 조사를 하겠다면서 끊임없이 괴롭혔다. 선거 와중인 5월 서면조사에 대해 일일이 답변을 하면서 나름대로 성의를 보였다. 이후 가르시아 윤리위원장이 작성한 종합 보고서는 “한국의 유치과정은 별 문제가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

하지만 FIFA 윤리위는 금년 1월20일 느닷없이 공식 조사를 하겠다고 통보해왔다. 지난해 12월 영국의 톰슨 집행위원이 저와 투표담합(vote trading)을 했다고 주장하자 결정적 약점을 찾아냈다고 판단했던 모양이다. 윤리위는 가르시아 위원장과 톰슨의 대화록을 보내면서 내게 “깜짝 놀랐느냐?”고 물었다. 톰슨은 2022월드컵 개최지 결정 투표일 하루 전인 2010년 12월1일 영국 윌리엄 왕자의 요청으로 왕자의 스위트 룸에서 캐머런 영국 총리, 톰슨, 그리고 우리 측에서는 저와 이홍구 전 총리가 참석했던 모임에 대해 언급했다. 그러나 톰슨은 윌리엄 왕자가 그 자리에 있었는지 조차 기억하지 못했다. 이런 사실을 지적하고 만약 이 자리에서 투표담합이 이루어졌다면 윌리엄 왕자와 캐머런 총리도 조사해야 하는 것 아닌가, 이렇게 여러 사람이 있는 자리에서 불법 행위를 은밀하게 논의할 수 있겠는가 라고 반박하자 윤리위는 이 부분에 대해서는 취하했다.

윤리위가 또 문제 삼았던 부분은 한국 유치위가 발표했던 국제축구기금(Global Football Fund : GFF)에 관해 동료 집행위원들에게 설명하는 편지를 보냈던 것이었다. 이것이 이익을 제공하는 것처럼 보인다는 주장이었다. 기본적으로 집행위원들은 자기 나라의 유치를 위해 적극적으로 활동하는 것이 오랜 전통이었다. 2010년 11월 당시 발케 사무총장은 저와 한승주 당시 한국유치위원장에게 편지를 보내 “이 문제는 종결됐다”고 밝혔었다. 게다가 이번 조사의 근거가 된 윤리위 규정은 2012년 개정판에 처음 등장했고 2010년에는 규정 자체가 없었다. 이러한 반박 때문인지 윤리위는 지난 10월8일 저에 대한 제재를 발표하면서 이 항목은 적용하지 않았다.

제가 8월17일 차기 회장 출마선언을 하기 직전인 7월초부터 캐나다의 밴쿠버, 미국의 필라델피아에서 만난 FIFA내의 친구들은 윤리위가 저의 출마를 막을 것이라는 귀띔을 해주었다. 출마선언 직후 일부 언론에서 윤리위가 저를 제재할 것이라는 보도가 흘러나오기 시작했다. 윤리위가 아니고서는 알 수 없는 정보들이 언론에 보도됐다. 아이티 파키스탄 같은 재난을 당한 나라에 기부했던 구호성금마저 조사대상이라는 얘기도 흘러나왔다. 윤리위 내부의 정보 유출자를 찾아달라고 FIFA 감찰위원회(Disciplinary Committee)에 요청했으나 증거가 없다는 이유로 기각됐다. 또 아시아 축구연맹(AFC)이 플라티니지지 서명 양식을 회원국에게 돌리고 이를 FIFA에 제출하도록 권유한 불법행위가 드러나 이를 FIFA 선관위에 고발했으나 선관위 역시 증거가 없다면서 이를 바로 기각했다.

이러한 윤리위의 비윤리적이고 불공정한 태도를 비판하는 성명을 발표하자 이번에는 윤리위의 명예를 훼손했다면서 기존 15년 제제 요청에 4년을 더 보탰다.

결국 지난 10월8일 윤리위는 당초 문제 삼았던 ‘투표담합’과 GFF 편지 관련 항목은 빼놓은 채 ‘조사비협조’, ‘명예훼손’ 등을 이유로 6년 제재를 가한 것이다. 명예훼손을 당했다고 주장하는 사람이 재판장이 되어서 심판을 했다.

FIFA 윤리위가 명예훼손을 당했다고 주장하는 것 자체가 코미디이다. 뉴욕타임즈는 “FIFA와 ‘윤리’라는 말은 모순”이라고 했는데 그런 FIFA의 윤리위에 명예가 있다는 것 또한 모순이다. 명예훼손은 FIFA가 아니라 제가 당한 것이다. FIFA가 언론에 정보를 흘려가면서 저를 비윤리적인 사람으로 채색하는 동안 저는 벌거벗겨진 채 송곳으로 찔리는 고통을 느껴야 했다. FIFA 회장 선거를 앞두고 저를 사람들 앞에 노출시키면서 비윤리적인 사람으로 매도하는 극장 효과(Theatrical Effect)를 낸 것이다.

마치 큰 비리라도 있는 것처럼 문제를 삼기 시작했던 FIFA 윤리위는 조사 근거가 무너지자 조사 과정상의 다른 사소한 것들을 시비 걸어 터무니없는 제재를 가했다.

이제 회장 선거에는 나가지 못하지만 아직 할 일은 많이 남아 있다고 생각한다. 축구를 사랑하는 많은 분들과 함께 FIFA의 실질적 변화를 이끌어 내기 위한 싸움에 나설 것이다.

그동안 FIFA의 협박 때문에 공개적으로는 지지를 표명하지는 못했지만 사적으로 만날 때마다 제게 성원을 보내면서 격려해주었던 전세계 축구계의 동료들, 언론인들, 그리고 대한민국의 국민 여러분께 감사드리며 계속 관심 갖고 지켜봐주시기를 부탁드린다.